칠두막의 짝지 삼양 35mm 수동랜즈에 컨펌칩을 달다.
본문 바로가기
상품리뷰

칠두막의 짝지 삼양 35mm 수동랜즈에 컨펌칩을 달다.

by 깜장야옹이 2017. 9. 28.
반응형



칠두막의 짝지 삼양 35mm 수동랜즈에 컨펌칩을 달다.



칠두막(7D Mark2)에 인물전용으로 사용하려고 구매했던 삼양의 35mm 수동랜즈입니다. 5배나 10배 줌을 이용해서 LCD로 보면서 찍으면 핀이 맞겠지만 실상은 잘 안되죠. 그나마 낮에는 얼추 핀이 맞는 경우가 많은데 밤에 촬영을 한번 해봤는데 어두워서 핀 맞추다 식겁을 한 적이 있었답니다.


그래서 생각만 하던 컨펌칩 부착을 해보기로 결심하고 질렀습니다.





비싼거는 10만원 정도하기도 하던데 단지 취미생활인 가난한 저에겐  솔직히 좀 아깝더군요. 그래서 알아보다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1만원 정도하는 제품을 찾아서 밑져야 본전이라는 생각으로 질렀답니다.


알리 컨펌칩 구매 바로가기 


위 링크를 클릭하시면 제가 구매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9월 14일 결제하고 15일 발송했는데 22일 도착을 했네요. 일주일만에 도착을 할 정도로 빠른 배송을 보여줬답니다.




손바닥보다 조금 큰 박스안에 딸랑 요거 하나 들었습니다. 이 작은거 하나에 만원이라니... 그래도 만원 투자해서 초점을 잡힐때 빨간불만 들어와 주면 노력 대비 이익이겠죠?




오늘의 준비물 입니다. 컨펌칩, 네임팬, 자, 글루건, 삼양 35mm 랜즈, 칩의 모양이 동일한 토키나 11-16 ii 랜즈입니다.


토키나 랜즈는 칩의 생김새가 같길래 샘플용으로 사용하려 준비를 했답니다. 다른 랜즈도 봤는데 칩의 모양이 다른것을 보니 호환용과 크롭바디 전용의 랜즈별로 칩의 모양이 다른 듯 합니다.





다른분들의 글들도 봤는데 보통은 랜즈 마운트되는 부분을 분리해서 카메라 바디에 연결한 후 네임팬으로 칩 부분을 체크해 두고 작업을 하시던데 볼트 풀고 하는게 귀찮은 저로선 바로 원형 그래도 작업을 해봤습니다.




두개의 랜즈를 자로 맞춰서 나란히 두고 길이를 측정해서 네임팬으로 체킹을 해두고 글루건을 살짝 붙여서 해봤는데 결과는 인식 실패.




어차피 기존 랜즈들과 똑같은 곳에 붙을테니 이번엔 빨간 동그라미 그려진 곳에 맞춰 붙여서 해봤는데 역시나 실패...





기존 랜즈(토키나 11-16 ii)를 유심히 쳐다보니 칩이 랜즈 마운트 되는 부분과 높이가 같지 않고 오히려 더 높이 튀어 나온것을 볼수 있더군요.


랜즈 바닥에 글루건을 길게 쏴서 높이를 얼추 맞춘다음 컨펀칩을 부착해서 바디에 마운트를 해봤는데 올~~ 절반의 성공.


통신불량이 떳다는 것은 일단 위치가 조금 틀어졌다는 의미일테니 작동은 된다는 의미겠죠? 





분명히 위에서 동그라미 친 곳에 기존 랜즈와 거의 일치하게 부착을 한거 같은데 왜 접점 오류가 발생한 걸까요??



 

작업 시작한지 거의 1시간 반에서 2시간 만에 드디어 컨펌칩을 제대로 부착했습니다.


통신 불량 오류가 뜬 원인은 바로 위치에 있었습니다. 원의 좌,우가 아니라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앞,뒤 즉 거리값이 틀린거였네요.


컨펌칩의 모양을 자세히 보셨다면 감이 조금 오셨을려나.. 기존 랜즈의 칩은 금박 칩과 뒷부분 공간의 차이가 1mm 정도로 매우 짧은데 비해 구매한 컨펌칩은 금박과 뒷부분의 공간이 매우 넓습니다.


준비물 사진 중에서 2번째 쇠자로 컨펌칩을 받치고 찍은 사진을 보시면 금박 뒷부분의 공간의 차이가 보이실겁니다.


결론은 위에 화살표로 체크를 해뒀는데... 처음에는 녹색 화살표 부분으로 랜즈의 튀어나온부분 안쪽에 컨펌칩을 설치를 했었는데 뒤에 공간만큼 더 나오게 하기 위해 보라색 화살표인 튀어나온 경계에 맞춰서 부착을 했답니다.


초점이 맞으니 삐빅하면서 빨간 불이 들어오네요. 작동은 제대로 합니다.




시험 촬영을 해봤습니다. 핸드크림과 2개의 배터리를 세워놓고 가운데 배터리의 R에 초점을 맞췄는데 후핀이네요. 오른쪽 배터리의 R에 초점이 맞았습니다.





그리고 한가지 오류가 있는데 저렴한 제품이라 그런지 F값을 아무리 바꿔도 F7.1로 인식을 하네요... 컨펌칩 달기 전에는 아예 F값이 빈란이었는데 이젠 무조건 7.1로 고정...아놔 ㅋㅋ





그래도 제 칠두막(7D Mark2)은 미세조정이 가능한 기종이랍니다. 대략 느낌적으로 4클릭만큼 조정해 놓고 다시 촬영해봤는데 가운데 배터리의 R에 맞은거 같네요..


그렇게까지 섬세하지 못한 저로선 저정도 맞으면 대충 쓸렵니다 ㅋㅋ 대~~충 맞으면 됐지 더이상 힘빼기 힘드네요.. 작업이 완료된 시간이 새벽 2시인지라 ;;




이제 모든 셋팅이 끝났으니 글루건으로 튼실하게 떡칠을 해서 붙여줬답니다. 떨어지면 다시 붙여야 하기에.. 모양보다는 성능을 선택했네요 ㅎㅎ 어차피 바디에 마운트하면 안보일 부분이니까 ㅎㅎ





[결론]



★ 칠두막도 컨펌칩을 달아놓은 랜즈를 인식한다.

★ 랜즈 마운트 부분의 튀어 나온곳 (사진 중 사각박스로 체크해둔 부분)을 기준으로 컨펌칩의 위치를 잡으면 된다.

★ 컨펌칩의 높이가 랜즈 마운트부분보다 높으므로 안쪽을 글루건으로 매꿔놓고 보라색 화살표 처럼 마운트의 겉부분에 맞추면 된다.

★ 조리개값의 변화를 줘도 랜즈 메타정보는 F7.1로 고정되서 출력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