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알아보기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알아보기
이제 막 일을 한지 10년차가 넘어가는 시점이네요. 국민연금은 최소 가입 기준이 10년이라 전 최소 가입요건은 이제 충족을 했습니다. 앞으로 더 이상 납부를 하지 않아도 만65세가 되면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겠지만 금액이 미미하겠죠 ㅎㅎ
오늘은 지금까지 납부한 국민연금의 금액이 얼마인지 미납된달이 있다면 어떤 회사를 재직할때 언제 미납이 됐는지 확인하는 방법과 더불어 지금 처럼 쭉~ 국민연금을 납부한다면 만65세가 되면 매월 얼마씩 받을 수 있을지 예상 수령액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포스팅도 할겸 겸사겸사 최소가입요건을 갖춘 저도 제가 수령할 수 있는 액수를 알아봐야겠네요. 국민연금 조회를 위해서는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니 미리 준비해 주시길 바랍니다.
국민연금 조회
국민연금 조회는 국민연금공단에서 이루어집니다. 포털에서 국민연금공단을 조회한 뒤 위 사진에서 표시해둔 "내 연금 알아보기"를 클릭합니다.
인증없이 알아볼 수 있는 메뉴도 있지만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인증하고 알아봐야 하는 "가입/ 납부내역 조회"를 선택합니다.
선택시 공인인증서를 요구하니 미리 준비해뒀다 본인인증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공인인증서로 본인확인 후 오른쪽에 있는 "국민연금 예상액"을 선택합니다.
이제부터 처음에 이야기 했던 총 납부한 국민연금, 미납금액, 예상 수령액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왼쪽에 있는 메뉴 중 "가입내역조회"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가장먼저 확인 할 수 있는 내용이 총 납부액과 관련된 총괄 내용입니다. 그동안 제가 납부한 국민연금은 130개월이고 5개월은 미납으로 나오네요. 당시 업체가 넘어가는 상황이라 일부 사업장에서 미납을 한 적이 있는데 저렇게 되면 5개월치는 연금 총액에서 빠지는 거겠죠?
당시 급여도 몇달치 못받았는데 연금도 못내고.. 내가 안낸것도 아니고 사업장에서 안낸건데..좀 그렇네요. 일은 일대로 다하고 뭐하는 건지..
조금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기간과 더불어 미납된 기간 및 당시 사업장까지 알 수 있습니다. 비고란에 있는 것이 당시 일했던 사업장 명칭이 적혀 있습니다. 사회초년생이던 당시 4개월 미납이 발생했고 올초에도 1회 미납이 발생했는데 2업체 모두 자금난에 넘어갔답니다. 가끔 집으로 미납 통지서가 등기로 날라오던데 사업장 업체에 안낸건 어쩌라는 건지.. 나한테 보낼게 아니라 사업주에게 보내서 받아야 하지 안나 싶네요.
국민연금을 납부한 후 수령받을때는 그때의 가치 즉, 물가에 따라 금액이 변동된다고 합니다.
지금의 평균으로 정년까지 쭉~ 납부한다면 총 8천만원이 넘는 보험료를 납부하게 되고 만65세가 되면 매월 85만원을 받을 수 있다고 나오는데 아직 20년이 넘게 남았으니 그때쯤 되면 물가 인상에 따라 지금 예상한 금액보단 더 많이 받을 수 있을 듯 합니다.
최근 통계자료에 따르면 2인 가족 기준으로 말년에 1달 노후 생활비가 200만원 정도 필요하다고 하던데 혼자 일해서 모아둔걸로는 반도 안되네요.
이러니 다들 결혼 안하고 혼자사는 걸까요 ;;
댓글